北최대 양강도 ‘삼마 주유소’도 변화 없어…평양 휘발유 제한, 中과 北의 여론조작일수도
  • 지난 21일 美AP통신은 평양발로 "북한이 휘발유의 민간판매를 제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당시 보도한 것 가운데 하나.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 21일 美AP통신은 평양발로 "북한이 휘발유의 민간판매를 제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당시 보도한 것 가운데 하나.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美AP통신은 지난 21일 평양발로 “주유소들이 휘발유 판매를 제한하고 있고, 가격도 급등했다”고 보도했다. 美AP통신의 보도 이후 국내 언론들은 “中공산당이 미국의 압력에 따라 대북 석유공급을 제한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추측성 보도를 내놨다.

    일각에서는 “中공산당과 김정은 집단이 짜고서 제재를 하는 척 하는 게 아니냐”고 의심했다. 이런 의심에 힘을 실어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일본의 북한전문매체 ‘아시아프레스’는 지난 29일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지방의 주유소 상황을 조사했지만, 지방에서는 주유소가 계속 운영되고 있고 가격도 오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日‘아시아프레스’와 접촉한 양강도 소식통은 “현재 이곳에서는 휘발유 값이 특별히 올랐거나 판매를 제한하지는 않고 있다”면서 “개인 유류판매상의 경우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예전에는 연료 1kg당 5위안(한화 820원) 정도였는데 현재는 6위안(한화 990원), 좀 좋은 연료는 6.5위안부터 7위안(한화 1,070원부터 1,150원) 정도 받는다”고 전했다고 한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7위안짜리는 北노동당 간부들이나 구매하고 대부분의 차량들은 비싸서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日‘아시아프레스’에 따르면, 현재 북한 돈과 中위안의 장마당 환율은 북한 돈 1만 2,000원이 1위안이라고 한다. 즉 북한 주민들의 실제 수입 등을 고려해볼 때 북한에서 휘발유와 같은 차량 연료를 구매하는 사람들은 일반 주민이 아니라 주로 사업자라고 볼 수 있다.

    日‘아시아프레스’와 접촉한 양강도 소식통은 “현재 평양의 주유소들이 휘발유 판매를 20kg으로 제한하고 가격도 크게 올랐다”고 알려주자 “평양에서 그러면 지방도 움직일 텐데 여기 주유소는 평소처럼 운영 중”이라며 의문을 표했다고 한다.

    양강도 소식통은 2005년 이 지역에 설립된 북한 최대 주유소 ‘삼마 주유소’의 상황도 전했다고 한다. ‘삼마 주유소에서는 기업소나 공장에 연료 구입표를 파는데 담당자들이 웃돈을 받고 이를 판매, 개인 승합차 사업자들이 사들여 연료를 구매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을 통해 확인한 결과 주유소에서의 판매 제한이나 가격 상승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日‘아시아프레스’는 “함경북도 김책市 등 다른 지역에도 휘발유 판매 상황을 조사했지만, 역시 가격 변동과 주유소 운영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면서 “평양의 주유소에서 연료를 넣으려는, 긴 차량 행렬이 목격되고 있다지만 그 이유와 원인은 수수께끼”라고 덧붙였다.

    국내 일각에서는 日‘아시아프레스’가 ‘수수께끼’라고 지적한 평양의 휘발유 판매제한의 원인을 지난 21일자 美AP통신의 평양발 보도에서 찾기도 한다.

    당시 美AP통신은 “평양의 주유소들이 민간에 휘발유 판매를 제한하고 있지만, 외교관 차량과 국제기구 직원 차량, 노동당 및 인민군 관계 차량들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인민군 공군 소유 ‘고려항공’이 운영하는 주유소에서는 판매 제한 등이 없다”고 덧붙였다.

    한국을 비롯한 외부세계는 보통 주유소의 휘발유 판매 제한이 매우 심각한 조치라고 생각한다.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정부 소속 차량보다는 민간인 소유 차량이 훨씬 많아서다.

    따라서 북한에서 운행되는 차량의 대부분이 노동당, 인민군 등 관청 소속이며, 택시나 민간 운송사업자들의 차량은 상대적으로 극히 적다는 점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북한은 이동의 자유가 없기 때문에 운송수단의 보급과 인프라 발전에 별 관심이 없다.

    이런 현실에서 외부 정보의 유입 및 확산을 막고, 中공산당이 대북제재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음을 외부세계에 보여주고, 한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의 언론을 선동하기 위해, 여기다 민간에게 판매하지 않은 휘발유 등을 전시용으로 비축하기 위해서, 외신들이 활동할 수 있는 유일한 도시 ‘평양’에서 휘발유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것처럼 꾸미고 있다는 설명이다.

    日‘아시아프레스’의 29일 보도는 이런 추측에 힘을 실어주는 근거 가운데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