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송년 연설에서 “내가 실패하면 매티스 차례” 강조
  • 렉스 틸러슨 美국무장관이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만날 수 있다"고 밝힐 당시 모습. ⓒ英로이터TV 관련보도 화면캡쳐.
    ▲ 렉스 틸러슨 美국무장관이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만날 수 있다"고 밝힐 당시 모습. ⓒ英로이터TV 관련보도 화면캡쳐.


    렉스 틸러슨 美국무장관이 지난 12일(현지시간) 한미 씽크탱크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만날 수 있다”고 말한 것이 13일 국내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이를 두고 국내에서는 “드디어 트럼프 정부가 김정은 정권과 대화할 생각을 한 모양”이라며 반기고 있다. 그러나 같은 날 틸러슨 美국무장관이 다른 곳에서 한 발언까지 모아 보면, 미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의 1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렉스 틸러슨 美국무장관은 이날 美워싱턴 D.C.에서 美씽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과 한국 국제교류재단이 공동주최한 ‘환태평양 시대의 한미 파트너십 재구상’이라는 토론회에 나와 “우리는 전제조건 없이 첫 만남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그냥 만나자, 북한이 원한다면 우리는 날씨 이야기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틸러슨 美국무장관은 이와 함께 “북한이 다른 선택(비핵화)을 원한다는 관점을 갖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면서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조용한 기간’을 가져야 한다는 점도 밝혔다고 한다.

    틸러슨 美국무장관은 “이런 기간(도발을 중단하는 기간) 없이는 생산적인 대화가 어려울 것”이라며 “북한에 첫 폭탄이 떨어지기 전까지는 외교적 노력(을 통한 대북압박)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틸러슨 美국무장관의 이야기가 “북한과 무조건 대화하겠다”는 뜻이 아니라는 점은 같은 날 다른 곳에서 한 연설에서도 나타났다.

    ‘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틸러슨 美국무장관은 같은 날 국무부 직원 송년회에서 연설을 통해 “북한 핵문제를 군사력이 아닌 외교적 노력을 통해 해결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가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만약 미국이 대북 군사조치에 나선다면 이는 국무부뿐만 아니라 나 개인에게도 실패”라고 밝혔다고 한다.

    틸러슨 美국무장관은 국무부 직원들 앞에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이 외교적으로 해야 할 역할이 있지만 북한 역시 자신들의 미래를 위해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라며 김정은의 결단을 촉구했다고 한다.

    그는 “미국은 북한이 도발을 멈추고 핵문제에 대한 대화에 나서기를 원하고 있다”며 “만약 북한의 도발이 계속된다면 외교적 해결이 불가능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틸러슨 美국무장관은 씽크탱크 주최 토론회와 국무부 송년회 두 곳에서 “우리는 외교적 해법으로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 해 왔다”며 “이를 위해 제임스 매티스 美국방장관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틸러슨 美국무장관은 또한 “나는 매티스 장관에게 ‘만약 외교적 노력이 실패해 군사적 대응을 해야 할 상황에 이르면 내가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으니 실패하고 싶지 않다’고 여러 차례 말했다”고 밝히며 “그러나 나는 우리가 성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러나 매티스 美국방장관도 자신의 차례가 되면 성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즉 틸러슨 美국무장관이 12일(현지시간) 토론회와 송년회에서 한 발언은 사실상 같은 뜻으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대북압박)을 계속할 것이며, 이것이 통하지 않을 경우에는 결국 대북 군사조치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는 트럼프 정부의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한편 ‘자유아시아방송’은 틸러슨 美국무장관이 “중국이 북한에서 대량의 난민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한 조치를 준비 중이라고 미국에 알렸으며, 미국은 유사시 미군이 휴전선을 넘는다고 해도 반드시 한국으로 복귀하겠ㄷ는 뜻을 중국에 약속했다”는 말을 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지난 7일 중화권 매체와 ‘자유아시아방송’ 등이 전한 “中정부가 창바이현 일대를 포함해 북한과의 국경 지대 5곳에 난민 수용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과 일맥상통한다.

    한국 정부나 여당의 바람과는 달리 미국의 ‘레드라인’이 점차 다가오는 것으로도 풀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