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6년간 대구공항 이용객 증감추이.ⓒ대구시
    ▲ 최근 6년간 대구공항 이용객 증감추이.ⓒ대구시

    대구시가 통합신공항 건설이 대구공항 수용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대구 항공수요 부응을 위해선 K2․대구공항 통합이전을 더욱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시는 24일 대구공항의 수용한계와 확장성 부족으로 이미 포화단계에 접어들어, 성장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에 시는 미래의 대구경북 항공수요를 충분히 처리하기 위해서는 통합신공항 건설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 보고, 시민의 의견을 하나로 모아 K2․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대구공항, 무늬만 국제공항에서 명실상부한 국제공항으로 거듭

    시는 2014년까지 대구공항의 국제선은 외국항공사(국제·동방·남방항공)에서 취항하는 중국 베이징, 상하이, 선양의 3개 노선 밖에 없었으며, 국적항공사가 취항을 꺼리는 무늬만 국제공항이라는 오명을 들어왔다.

    이에 시는 2014년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2016년 타이거에어, 에어부산의 4개 저비용항공사를 유치한 것을 발판으로, 국제노선 다변화 시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중국 일변도의 노선 중심에서 일본, 대만, 필리핀, 베트남, 대양주(괌)의 6개국 14개 노선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해 중국의 사드(THAAD) 사태 여파로 국내 타 공항에서 고전을 거듭하고 있는 동안, 대구공항은 국제선 공급력 확대, 노선 다변화 등으로 4월부터는 제주공항의 국제선 여객을 추월하면서 전국 4대 국제공항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공항 이용객은 2013년 108만명(국내 94만명, 국제 14만명)머물렀지만, 지난해 말에는 개항 이래 최초로 253만명(국내 185만명, 국제 68만명)을 돌파한 것과 동시에 흑자공항으로 탈바꿈했다.
     
    ▩ 다양한 공항 활성화 시책 쏟아내
    KTX 개통 이후 겪었던 대구공항 침체기의 쓰라린 경험을 극복하고, 대구국제공항을 지역 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대비를 차근차근 해왔던 점이 주효했다.

    2014년 9월에는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환승공항으로 지정되면서 전세기 운항이 대폭 확대됐고 요우커(중국인 관광객)들의 대구경북 방문이 크게 불어났다.

    또 항공사가 노선 개설에 따른 적자 부담을 떨칠 수 있도록 국제선 정기노선 신설 항공사에 운항 초기 손실금의 일부를 보전하면서, 측면 지원을 강화한 것도 원인으로 풀이된다.

    ▩ 대구공항, 성장 한계 여실히 드러나

    올해 6월말까지 대구공항 이용객은 164만명으로 연말께  330만명(국내선 200만명, 국제선 130만명)에 달할 것으로 시는 전망했다. 국제선 여객의 경우 지난해 대비 149% 성장했고 전국 최고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반해 대구공항의 수용능력은 연간 375만명(국내선 257만명, 국제선 118만명)으로 연말에는 국제선 수용능력을 초과할 것으로 보여 신규 항공사 유치와 국제노선 신․증설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대구시는 유치를 위해 오랜 시간 공을 들였던 항공사의 경우 대구공항의 운항 스케쥴이 확보되지 않아 다른 지방공항에 취항하기로 한 상태로 전해져  포화상태에 접어든 대구공항에 집중하기 보다는 타 공항에 분산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최근에는 베트남 하노이와 하이퐁에 현지 사업장을 두고 있는 대구경북권 대기업 2개사에서 업무출장 시 인천공항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대구-하노이 노선 개설을 공식 제의해왔지만, 시는 대구공항의 제약으로 인해 취항에 어려움이 따르는 상황이다.

    ▩ 미래 항공수요 흡수 위해선 통합신공항 건설 필수

    대구경북 지역의 여객 수요도 꾸준히 증가추세로 전망되는 가운데 현재 포화 국면에 진입한 대구공항의 시설 여건으로는 여객 증가세가 머지않아 정체기에 접어들 것으로 보여진다.

    게다가 김해신공항과 제주신공항 건설이 마무리되는 2020년 중반에 이르게 되면, 역외 공항으로 쏠림현상이 가속화될 수 밖에 없어 역외로 유출이 되면서 공급이 약화되는 악순환에 빠질 우려가 커진다.

    이에 대구시는 대구통합 신공항 건설을 통해 대구경북의 경박단소형 산업의 항공 물류지원이 가능한 반듯한 공항으로 건설하여, 지역민의 항공수요에 부응할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통합 신공항 건설은 미래 세대에 대구경북지역의 성장 동력을 마련해주고, 지도를 바꿀 수 있는 역사적인 사업이다”면서, “통합 신공항 건설이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어 본 궤도에 오른 만큼, 지역사회의 민의 결집과 중앙 정부와의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