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이전은 시대적 소명현재단계에서 사업비 판단은 시기상조
  • ▲ 지난해 2월 김영만 군위군수(오른쪽)가 국방부를 찾아 통합신공항 유치를 위한 발빠른 대응에 나섰다.ⓒ군위군
    ▲ 지난해 2월 김영만 군위군수(오른쪽)가 국방부를 찾아 통합신공항 유치를 위한 발빠른 대응에 나섰다.ⓒ군위군

    군위군(군수 김영만)이 통합신공항 유치에 고삐를 죄고 있다.

    군은 올해 통합신공항 유치를 본격 추진한 지 3년을 맞아 최대 역점사업으로 선정하고 발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특히 재선에 성공한 김영만 군수가 민선7기 제1호 공약으로 ‘통합신공항 유치 확정’을 내세우면서 군위군의 최대 역점사업으로 자리 잡은지 오래됐다.

    김 군수는 2019년 신년사를 통해 통합신공항 유치는 ‘정치적 이념을 넘어선 대구 경북의 상생 발전’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그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소멸위기에 처한 군위를 위해 반드시 성공해야 하는 시대적 소명’으로 인식하고 통합공항 유치로 군위가 대구·경북의 중심을 넘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 갈등 잦아들고 안정화 접어들어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2016년 7월에 정부의 대구공항의 민·군 통합이전 방침이 발표되면서 그 막이 올랐다. 경북의 타지자체에서 관망하고 있을 때, 군위군은 선제적으로 유치를 희망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런 김 군수의 결단으로 일부에서는 주민 반발이 거셌고 6. 13지방선거를 앞 둔 시점에 정치적 이해관계와 결합해 지역에 커다란 혼란을 초래했다.

    이 때문에 ‘군수 주민소환’이라는 초유의 사태까지 발생한 군위에서는 그 갈등은 정점에 치달았지만, 다행히 주민소환은 발의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기각됐다.

    하지만 6. 13 지방선거에서 김 군수를 비롯한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주장한 정치인들이 대거 당선되면서 비로소 지역은 안정되기 시작했다.

    이 배경에는 김 군수의 흔들리지 않는 뚝심과 오로지 군민만 보고 가겠다는 진심을 군민들이 이해하고 받아 들였다는 것이 지역의 대체적인 여론이다.

  • ▲ 지난해 12월 열린 대구공항 통합이전 주민협의회 소통간담회 개최 장면.ⓒ군위군
    ▲ 지난해 12월 열린 대구공항 통합이전 주민협의회 소통간담회 개최 장면.ⓒ군위군

    ◇ 우보가 공항 후보 최적지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2017년 2월 ‘군위우보’와 ‘군위소보-의성비안’이 예비이전 후보지로 발표되면서 군위와 의성의 갈등은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다.

    군위군은 대구와의 접근성을 이유로 대구공항은 반드시 우보로 와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군은 대구공항의 현재 이용객이 80%이상 대구 시민임을 감안할 때, 대구시에서 공항까지의 거리가 향후 민항의 활성화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점에서 충분한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기부대 양여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종전부지의 종전부지의 미래가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이전사업비의 경우에도 설계를 해보지 않은 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 대구시의 입장이다.

    국방부와 대구시 간 이런 입장차가 통합공항 이전을 지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군위군은 조만간 어떤 방식으로든지 입장차가 정리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2019년을 통합공항이전 원년으로

    군위군은 올해를 통합공항이전의 원년으로 삼고 연초부터 공항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17년 이후 T/F팀으로 유지돼온 통합공항추진기획단을 정식기구인 공항추진단으로 승격하고 공항기획, 지원 사업, 소통협력담당을 신설해 통합신공항추진에 대한 행정적 지원과 신속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올해 군위군 시무식에서는 통합공항 이전과 관련, 전 직원이 홍보대사가 될 것을 자임하는 선서를 하는 등 통합공항 이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군위군 관계자는 “이런 분위기를 몰아 군위군의 백년대계인 대구공항 통합이전이 순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