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민 대구경북행정통합 찬성 40.2% vs 반대 38.8% 찬반격차 1.4%로 오차범위 내 팽팽대구 중부권·경북 서부권 찬성의견 높고, 대구 동부권·경북 북부권 반대 의견 높아
  • ▲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찬반 여론조사표.ⓒ대구시
    ▲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찬반 여론조사표.ⓒ대구시

    대구경북행정통합과 관련해 대구경북 시도민 찬성과 반대 비율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론화위원회(공동위원장 김태일·하혜수, 이하 공론화위원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2월 16일부터 19일 대구·경북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1차 여론조사  결과, 찬성 40.2%, 반대 38.8%, 모름/무응답 21.1%로 나타났다.

    대구시민은 찬성보다 반대의견이 1.1% 높았으며, 경북도민은 찬성의견이 반대보다 3.8%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찬반격차가 1.4%로 찬성과 반대 구분에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대구 중부권과 경북 서부권에서 찬성의견이 높았고 대구 동부권과 경북 북부권에서 반대의견이 높았다.

    지역별 조사를 살펴보면 대구시민은 찬성 39.7%, 반대 40.8%로 반대의견이 1.1% 높았다. 경북도민은 찬성 40.6%, 반대 36.8%로 찬성의견이 3.8% 높아 경북도민이 대구시민보다 행정통합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찬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미만은 찬성 31.8%, 반대 45.7%로 응답했으나 50세 이상은 찬성 47.7%, 반대 32.4%로 응답했다.

    행정통합 찬성이유는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지방정부 구성으로 국가균형발전 도모’ 28.1%, ‘시도의 통합을 통한 도시와 농촌의 상생발전 도모’ 27.1%,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로 경쟁력 확보’ 16.3%, ‘기관, 인력, 시설의 중복해소를 통해 재정효율성확보’ 15.9%, ‘모름/무응답’ 2% 순이었다.

    행정통합 반대이유는 ‘지역 균형발전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것 같아서’ 38.3%로 가장 많았고, ‘통합에 따른 경제 산업 발전성과가 크지 않을 것 같아서’ 29.6%, ‘시군구별예산이 줄어들 우려가 있어서’ 10.2%, ‘대구·경북의 권한이 더 늘어날 것 같지 않아서’ 7,1%, ‘모름/무응답’ 2.6%로 조사됐다.

    김태일·하혜수 공동위원장은 “행정통합의 비전과 목표, 통합의 방향, 부문별 발전 전략을 담은 대구경북행정통합 기본계획(초안)을 오는 3월 2일 시·도민에게 공개하겠다”며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론화위원회는 행정통합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 증대를 위해 공론홍보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공론화위원회는 3월 4일부터 3월 9일까지 대구·경북 4개 권역(대구권, 동부권, 서부권, 북부권)으로 나누어 시·도민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를 통해 행정통합 기본계획(초안) 등 관련 세부내용을 시·도민에게 상세하게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자리를 갖기로 했다.

    세대별 인지도 확산을 위해 소통채널을 다양화하고 젊은 층이 접근하기 쉬운 SNS 등을 활용한 공론홍보 방향을 다각화할 예정이다.

    행정통합에 대한 합리적 우려를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연구단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균형발전가능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권역별 특화성장방안과 1-1-2교통생활권 구축방안 등 실천적 계획안을 마련하여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행정통합에 대한 이해증진과 의문이 해소됨으로써 지금까지의 침체분위기와 다르게 지역 내 공론화 논의가 한층 활성화되고 숙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 16~19일 대구(1000명)·경북(1000명) 만 18세 이상 유권자 2천 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원에 의한 전화면접조사(유·무선 혼합 RDD)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응답률은 16.8%이다.

    2021년 1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현황에 따라 성별, 연령별, 지역별(시·군·구 단위)로 인구 구성비에 맞게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P이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