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생산품 판매 확대와 일자리 활성화 방안 모색
  • ▲ 도기욱 경북도의회 도기욱 의원은 22일 경상북도 장애인생산품 판매 확대와 일자리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경북도의회
    ▲ 도기욱 경북도의회 도기욱 의원은 22일 경상북도 장애인생산품 판매 확대와 일자리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경북도의회

    도기욱 경북도의회 도기욱 의원(예천, 자유한국당)은 경상북도 장애인생산품 판매 확대와 일자리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도 의원은 22일 경상북도청 다목적홀에서 토론회를 열고 경북도가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30개소에서 비닐봉투, 사무용지, 화장지류, 가구류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공공기관의 장애인생산품에 대한 소비는 매우 미흡한 수준에 있다고 강조했다.

    도 의원에 따르면 경북도의 장애인생산품 구매현황(시군 포함)을 보면, 17개시도 중 2017년 16위, 2018년 15위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서 규정한 1%에도 크게 못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장애인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대한 지원방안과 장애인생산품의 보다 많은 공공기관 구매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서는 대구사이버대학교 재활상담학과 이창희 교수가 ‘경북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제에 나서 직업재활시설의 사회적기업 진입요건 완화, 비장애인 전문 인력 지원,  직업재활시설의 중소기업 지위 부여 및 절차 간소화 등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도 의원의 사회로 김재광 경상북도 복지건강국장, 이재갑 안동시의원, 이원기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부회장 등이 나서 공공기관의 장애인생산품 구매 확대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도 의원은 “공공기관에서는 장애인생산품의 근본적인 품질 개선과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문제 개선과 지속적인 구매 노력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경상북도에는 30개의 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에 653명의 장애인이 휴지, 비닐봉투, 장갑, 복사용지 등 다양한 상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생산품을 판매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어렵게 일자리를 찾아 열심히 일해도 생산한 상품이 팔리지 않는다면, 장애인뿐만 아니라 그 가족 그리고 직업재활시설의 어려움이 가중될 될 것”이라며 “공공기관과 직업재활시설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해 많이 사용되는 제품을 우선 선정하고 품질 개선 및 적정가격 등을 상호 협의해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