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실크로드: 시암을 지나 한반도까지의 해상길’ 주제
  • ▲ 계명대 실크로드연구원이 9개국 석학들과 전문가 11명이 참가하는 ‘2023 실크로드 국제학술회의’을 태국 방콕에서 개최했다.ⓒ계명대
    ▲ 계명대 실크로드연구원이 9개국 석학들과 전문가 11명이 참가하는 ‘2023 실크로드 국제학술회의’을 태국 방콕에서 개최했다.ⓒ계명대
    계명대 실크로드연구원이 9개국 석학들과 전문가 11명이 참가하는 ‘2023 실크로드 국제학술회의’을 태국 방콕에서 열었다.

    9월 28일부터 29일까지 태국 방콕 소재 탐마삿대학교에서 열린 국제학술회의는 계명대 실크로드연구원과 태국 탐마삿대학교가 공동 주관하고, 경상북도의 후원으로 개최됐다.

    김중순 실크로드 연구원장은 “실크로드는 초원길, 오아시스길, 그리고 바닷길로 나눈다. 그 가운에 이번에 다루는 것이 바로 바닷길이다. 바닷길은 지중해에서 출발해 이집트와 튀니지, 케냐와 탄자니아, 홍해와 에디오피아, 뱅골만과 스리랑카, 말레이반도와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와 남중국을 거쳐 한반도까지 이르는 길이다”고 말했다.

    이날 제1분과에서는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 시타 폰 레덴 교수가 ‘실크로드 무역 또는 탈지역적 네트워크의 연결성: 기원전 약 300년부터 기원후 약 300년 사이의 동남아시아 해상 교역의 변동’을 중심으로 ▲일본 도카이대학 준 키무라 교수가 ‘해상 실크 루트의 유산으로서 난파선과 항구’를 주제로 발표했다.

    제2분과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이난아 교수가 ‘해상 실크로드를 따라 확산된 전염병에 관한 연구: 소설 <페스트의 밤>’을 중심으로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이주엽 교수가 ‘포스트 몽골 세계의 육로와 해상 실크로드’를 주제로 다뤘다.

    이어 제5분과는 ▲미국 로아노크대학 스텔라 슈 교수가 ‘전근대 동아시아의 해상 네트워크 수호신: 장보고에 대한 역사적 쟁점과 기억’ ▲계명대학교 조슈아 반 류 교수가 ‘해금령(海禁令)과 근대성: 비판적 고찰’을 주제로 심도있는 논의가 펼쳐졌다.

    계명대학교는 2018년에 탐마삿대학교 교양학부와 협정을 체결한 후, 올해 9월에 대학 간 자매결연 협정을 체결하고 활발한 학문적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2014년 실크로드연구원을 개원한 계명대는 ‘실크로드 국제학술회의’의 개최와 영문 국제학술지 Acta Via Serica를 발행해 실크로드를 통해 국제적으로 교류하며 찬란한 문명을 꽃피웠던 신라문화를 학술적으로 재조명하고, 실크로드 주요 거점 국가와 문화와 경제의 교류 활성화를 통한 네트워크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