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의회 정책연구위원회(위원장 신효광)는 9일 경상북도교육청 화백관에서 1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해 ‘경상북도 통합돌봄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경북도의회
    ▲ 경북도의회 정책연구위원회(위원장 신효광)는 9일 경상북도교육청 화백관에서 1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해 ‘경상북도 통합돌봄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경북도의회
    경북도의회 정책연구위원회(위원장 신효광)는 9일 경상북도교육청 화백관에서 1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해 ‘경상북도 통합돌봄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토론회는 보건복지부 커뮤니케어 2차 시범사업 지역 선정 이후 전국 최초 경북도의회 차원에서 첫 개최됐다.

    토론회는 저출산·고령화, 인구소멸 등 지역환경 변화에 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도민의 사회안전망 구축 등을 위하여 향후 경상북도 통합돌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책토론회에서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추진방향과 미래’란 주제로 유애정 센터장(국민건강보험공단연구원)이 주제발표를 했고, 윤종성 광주서구 스마트통합돌봄담당관과 박경숙 의성군 복지과 과장의 사례발표에 이어 토론자들의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다.

    발제를 맡은 유애정 센터장은 커뮤니티케어 1단계 사업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분석과 올해부터 2025년까지 추진하는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대상자 기준 ▲서비스 현황 ▲전달체계 구축 등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황명강 의원은 “경상북도 및 시군에 통합돌봄 컨트롤타워 설치가 절실히 필요하고, 통합의 의미에 걸맞게 생애주기별 전체 도민에게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제언했다.

    손희권 의원은 “영·유아, 아동·청소년 돌봄 관련 사무가 다원화돼 있어 전달체계 일원화가 필요하다. 노인뿐 아니라 영유아, 아동·청소년에 이르기까지 돌봄 대상자 확대가 필요하며, 언제 어디서나 안심하고 아이들을 키울 수 있도록 보건-의료체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북도 어르신복지과 이정미 과장은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된 의성군을 필두로 경북지역에 적합한 통합돌봄모형 창출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토론회에서는 좌장을 맡은 신효광 정책연구위원장은 “통합돌봄정책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우리나라에 하루빨리 도입되어야 할 중요한 정책이기 때문에 보건복지부 차원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부탁한다”며 “경북 자체 통합돌봄사업 추진을 위해 도의회 차원에서도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