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도 통합 계기로 대한민국을 초일류국가로 가는 선도적 역할”
  •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6일 대구경북통합 명칭 논란과 관련해 “통합명칭, 청사위치 등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시·도민의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충분한 논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이철우 지사 페이스북 캡쳐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6일 대구경북통합 명칭 논란과 관련해 “통합명칭, 청사위치 등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시·도민의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충분한 논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이철우 지사 페이스북 캡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6일 대구경북통합 명칭 논란과 관련해 “통합명칭, 청사위치 등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시·도민의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충분한 논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며칠 전 배한철 경상북도의회의장 초청으로 역대 경북의장 10여명이 오찬 간담회를 가졌는데 대구경북통합 관련 얘기를 나누는 중 통합명칭을 대구직할시 또는 대구광역시로 한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대구 중심 일방적 통합을 크게 우려하면서 경북이 큰 집이었는데 경북이 사라지면 안 된다고 경북도의회 차원에서 적극 대응하라는 주문이 있었다”며 시작했다.

    이어 “경북 북부 출신 의장들은 안동에 있는 도청이 대구로 이전 하면 북부지역 균형발전을 우려했다라고 한다. 분명히 말씀드리면 통합명칭, 청사위치 등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시·도민의 공감대가 형성 될때까지 충분한 논의 절차를 거쳐야 하고 지난번 대구경북통합 논의시 대구경북특별광역시로 공론화 된 바 있기때문에 대구경북을 함께 사용하는 방향으로 공감대가 형성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홍준표 대구시장도 경북반발을 우려해 대구직할시, 대구광역시 고집하지 않고 통합에 최선을 다 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고 청사위치도 현 위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시·도민 공감대 형성에 유리하고 관건은 중앙정부 권한을 대폭 이양 받아 업무영역 확대로 공무원 수가 줄지 않아 사무실 공간도 지금 보다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끝으로 이 지사는 “이번 시·도 통합을 계기로 완전한 자치를 이루어 한나라처럼 운영하고 대한민국을 초일류국가로 가는 선도적 역할이 되도록 합심 노력을 다짐하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