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와 공동연구, 친환경 양자점 결함제어 통한 태양광 수소 생산 성능 극대화세계적 에너지·환경분야 저널인 ‘Carbon Energy’ 게재
  • ▲ (왼쪽부터) DGIST 양지웅 교수, 이효철 석사과정생, Shi Li 박사과정생, 김화평 석박사통합과정생, 인수일 교수.ⓒDGIST
    ▲ (왼쪽부터) DGIST 양지웅 교수, 이효철 석사과정생, Shi Li 박사과정생, 김화평 석박사통합과정생, 인수일 교수.ⓒDGIST
    DGIST(총장 국양) 에너지공학과 양지웅 교수팀이 삼원계 친환경 반도체 양자점의 결함제어 합성법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광수소 생산법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DGIST 에너지공학과 인수일 교수, 단국대학교(총장 김수복) 화학공학과 김재엽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했다.

    최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차세대 청정에너지원으로 수소가 주목받고 있지만, 청정에너지원인 수소의 생산이 대부분 석유 분해 방식 등 비친환경적인 환경에서 이뤄져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활용해 물을 분해하는 친환경적 수소 생산 방식인 ‘광전기화학적 수소 생산’에 대한 연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경우 광전기화학적으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주로 수계 환경에서 안정성이 높은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해 물을 분해했다. 산화물 반도체는 안정성이 높지만, 수소 생산 효율이 굉장히 낮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 이유는 넓은 밴드갭으로 인해 태양광 에너지의 극히 일부만 흡수하고 물 분해 과정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리(Cu), 인듐(In), 셀레듐(Se)으로 구성된 친환경 CuInSe2 반도체 양자점을 이용해 태양광 흡수율을 극대화한 광전극을 제작하고, 광전기화학적 수소 생산에 활용했다. 

    기존에는 구리, 인듐, 셀레듐 등 세가지 원소로 구성된 삼원계 반도체가 양자점 수준에서 물성(물질의 성질, 이하 ‘물성’) 제어에 제약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실험을 통해 양자점 합성과정에서 다양한 전구체의 반응성 차이를 발견하고 친환경 양자점 결함제어와 함께 물성 향상에 성공하게 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합성된 양자점은 대략 4 나노미터의 크기로 균일하게 유지됐고,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뿐만 아니라, 조성 및 구리(Cu)의 빈자리 결함구조를 제어해 자체 도핑 효과를 통해 전하 농도, 전도도, 전하 재결합 속도 등 반도체 물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DGIST 에너지공학과 양지웅 교수는 “새롭게 개발한 친환경 기술로 양자점 물성을 대폭 향상하게 됐는데, 세계 최고 수준의 태양광 수소 생산 성능을 보인 결과도 나타나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인수일 교수는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 양자점 반도체 기술이 기존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환경 및 에너지 문제 해결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 연구는 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사업 등의 지원을 통해 이뤄졌으며, 연구결과는 세계적 에너지·환경분야 저널인 ‘카본 에너지(Carbon Energy, IF: 21.556)’에 온라인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