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포토닉스의 저전력화 기술로 대규모 광학 회로 구현에 기여한 점 인정받아
  • ▲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한상윤 교수.ⓒDGIST
    ▲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한상윤 교수.ⓒDGIST
    DGIST(총장 이건우)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한상윤 교수가 ‘국제 광학 및 전자기학 연구 심포지엄(Photonics and Electromagnetics Research Symposium, 이하 ‘PIERS’)’에서 40세 미만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젊은 과학자상(Young Scientist Award)’을 받았다.

    ‘PIERS’는 미국 전자기학 아카데미(The Electromagnetics Academy)가 1989년부터 매년 주관하는 광학 및 전자기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연구 심포지엄이다. 한상윤 교수는 실리콘 포토닉스(Silicon Photonics)의 저전력화 기술로 대규모 광학 회로 구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도 ‘젊은 과학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은 빛을 이용하여 반도체 회로의 처리 속도를 높이는 기술로,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 양자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이 되는 기술이다.

    한상윤 교수는 실리콘 포토닉스 칩의 대기 전력을 기존 대비 약 100만 배 이상 감소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2023년 12월 관련 연구결과를 광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에 발표하는 등 광학 및 전자기학 분야 연구 기술 개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상을 받게 됐다.

    DGIST 한상윤 교수는 “이번 수상을 통해 연구실의 학생들과 함께 연구하고 있는 저전력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의 중요성이 인정받아 기쁘다”며 “앞으로 후속연구를 통해 데이터센터, AI, 양자컴퓨터의 대규모화 및 저전력화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