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미각 감지 원리 모방해 실시간으로 짠맛, 신맛 등 동시에 느껴식료 산업 뿐 아니라 화장품, 의약 산업 등 다양한 분야 활용 기대
-
DGIST(총장 이건우)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장경인 교수 연구팀과 KAIST(총장 이광형) 항공우주공학과 최지환 교수 연구팀이 인간 미각을 모방한 인공 전자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이 시스템은 센서와 딥러닝 기술을 효과적으로 통합해 실시간으로 짠맛, 신맛, 떫은맛, 단맛을 동시에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식품, 주류, 화장품 및 의약품 등 다양한 분양에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전자혀는 인공 미각 센서로, 인간의 미각을 모방해 다양한 맛을 구분하고 세부적인 특징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객관적이고 일관된 맛의 평가를 가능하게 해 신제품 개발 및 품질 관리 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전자혀는 맛물질과 맛세포에 포함된 맛수용체의 화학 반응 결과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돼 신경망을 통해 뇌에 전달되며, 뇌는 이 신호를 해석하며 맛을 인식하는 원리로 작동한다.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전자혀의 센서 부분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이뤄져 왔기 때문에 딥러닝 기술과의 통합이 부족하여 높은 정확도와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이에 장경인·최지환 교수 연구팀은 센서와 딥러닝 기술을 효과적으로 통합한 전자혀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연구팀은 각각의 맛을 감지할 수 있는 네 가지의 센서를 만들었고, 밀리미터 스케일의 우물 구조(well-structure)를 센서 소자에 제작해 안정적으로 측정이 가능하게 했다.연구팀은 개발한 전자혀 시스템을 활용해 6종의 와인을 측정하고 맛 프로파일링 실험을 수행했다.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6종의 와인을 95% 이상의 확률로 구분하는 데 성공했으며, 기존 와인과 유사한 와인을 제안하는 추천시스템도 구현했다.이로써 전자혀 시스템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 가능함이 입증됐고 한발 더 나아가 각종 식품·주류 개발,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로 응용 가능성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전공 장경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기술은 복합 맛을 측정 가능한 센서-딥러닝 통합 전자혀 시스템으로써 기존에 정량화하기 힘들었던 미각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센서-딥러닝 기술”이라고 전했다.이어 “다양한 와인을 통해 맛의 구분을 높은 확률로 구분 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추후 연구 내용을 더 발전시켜 식료 산업뿐만 아니라 화장품 또는 의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9월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