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3일부터 6월 3일까지 사업재편 희망하는 기업 모집
  • ▲ 대구시 동인청사 전경.ⓒ뉴데일리
    ▲ 대구시 동인청사 전경.ⓒ뉴데일리
    대구광역시와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은 지역 자동차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사업재편을 희망하는 기업을 모집한다.

    지원사업은 4개 분야로 △미래차 전환 사업재편 승인을 지원하는 ‘사업재편 컨설팅 지원’ △지역기업이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중견+중소 또는 중소+중소)하는 ‘미래차 전환 상생 패키지 사업’ △성장 잠재력이 높은 유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는 ‘미래차 역량 스케일업 사업’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한 ‘마케팅 지원’ 등이다

    공모 기간은 5월 13일부터 6월 3일까지이며, 대구 미래차 전환 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하고, 현장조사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해 지원기업을 확정한다.

    자동차 부품산업은 대구시 전체 제조업 부가가치의 25.4%를 차지하는 주력산업으로, 완성차 기업의 부재 속에서도 자동차산업 국내 Top 100 기업 중 12개 사가 대구시 소재 기업일 정도(2022년 매출액 기준)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전기·수소차, 자율주행 등 미래차로의 산업생태계 변화로 자동차 부품 수가 최대 50%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엔진, 흡/배기, 연료공급 등의 부품은 전기차에서 배제되기 때문에 부품업계의 미래차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이에 대구광역시는 2022년 1월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을 거점으로 미래차 전환 종합지원센터(이하 ‘센터’)를 개소해 관련 기업협의체, 지원기관 협의체 등 거버넌스 구축과 기업 지원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2024년 3월 기준으로 25개 사가 산업부 미래차 사업재편 승인기업으로 선정됐고 이는 경기, 경북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센터는 지난해 사업을 통해 22개 사를 지원해 사업화 매출액 61.4억 원, 신규고용 70명 등의 성과를 창출했다.

    그중 상생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받은 ‘구영테크&일성도금 컨소시엄’의 경우, 전기차용 배터리 모듈 케이스 개발에 성공하며 신규 수주 3건, 신규고용 12명을 달성했다. 도장/도금 등 제조업 뿌리산업 기반의 ‘일성도금’과 엔진 브래킷을 생산하는 ‘구영테크’의 협력에 센터의 맞춤형 지원이 더해진 결과로 양 기업은 산업부의 사업재편 승인심의도 함께 통과했다. 

    대구광역시는 2024년에도 센터를 중심으로 부품기업 및 지원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유지해, 컨설팅, 애로 해결, 기술매칭 등 적재적소의 지원으로 미래차 전환기업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올해 7월 시행되는 ‘미래차특별법’에 SW가 미래차 기술로 포함된 만큼 관련한 정부 지원이 강화될 것에 대비해,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SW 협의체’를 신설해 정부정책과 SW 기업지원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간다.

    최운백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급변하는 자동차산업 생태계 속에서 지역의 부품기업이 미래차로의 전환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