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최소화 위해 6~7월 집중방제 중요
  • ▲ 탄저병에 감염된 사과.ⓒ상주시
    ▲ 탄저병에 감염된 사과.ⓒ상주시
    경북 상주시는 과수에 피해가 큰 탄저병 피해 최소화를 위해 5월부터 수확기까지 철저한 방제를 당부했다.

    상주시농업기술센터는 지난해 탄저병이 대량 발생해 사과, 복숭아에 큰 피해를 입어 전국 사과 생산량이 전년대비 24%나 감소한 43만톤에 그쳐 가격이 2배 이상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철저한 방제를 통한 피해 최소화가 기징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탄저병은 6~7월 사과, 복숭아 등 주요 과수에 발생하며, 25~30℃의 온도와 70% 이상의 상대 습도에서 활발하게 감염된다. 탄저병의 1차 전염원은 지난해 이병 과실, 가지, 낙엽 등이며 대부분 강우시 빗물을 통해 전파된다.

    감염된 과일은 환경조건에 따라 4~10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2차 전염원인 분생포자의 형성과 함께 징후가 나타난다.
  • ▲ 탄저병에 감염된 복숭아.ⓒ상주시
    ▲ 탄저병에 감염된 복숭아.ⓒ상주시
    탄저병에 감염되면 표면에 갈색 반점이 생기고 이 반점이 점차 커지면서 병반부가 함몰된다. 

    병반부에는 검은 반점과 주황색 분생포자가 형성되며 과일 안쪽은 V자 모양으로 과심부까지 썩는다.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6~7월에 집중적인 사전 예방과 집중 방제로 병균 확산을 저지해야 한다. 

    우선 감염된 과일이나 가지 등이 없는지 수시로 예찰해 발견 즉시 멀리 제거하고, 과원 내 바람이 잘 통하고 햇빛이 바닥까지 통과될 수 있도록 수관을 관리하고 배수가 잘 되도록 해야 한다. 정기방제를 하더라도 강우량이 많고 장마철이 되면 강우 사이와 전후에 추가 방제를 해야한다.

    상주시 관계자는 “올해 여름도 비와 고온이 예보됨에 따라 전년처럼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며 “예방과 주기적인 방제를 해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