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류정수장 후적지 활용, “5만 평 달하는 요지, 대구시 미래 먹거리 달려 있어”석포제련소 등 환경문제…접근방식부터 바꿔야
  • ▲ 지난 28일 강효상 의원이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두류정수장 후적지 개발, 대구 물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등 지역 현안과 관련한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뉴데일리
    ▲ 지난 28일 강효상 의원이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두류정수장 후적지 개발, 대구 물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등 지역 현안과 관련한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뉴데일리

    지난 28일 대구에서 두류정수장 후적지 활용방안 시민대토론회를 갖고 지역 현안을 챙기고 있는 강효상(달서병·비례) 의원.

    뉴데일리는 이날 대토론회를 막 끝내고 의원실로 복귀하는 강 의원과 만나 지역의 긴급 현안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 한국물기술인증원, “대구 물산업클러스터 내 반드시 유치돼야”

    앞서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물기술인증원의 대구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내 유치를 강하게 주장했던 강 의원은 물산업 관련 기술과 제품 기업들이 모인 클러스터 내에 미국 FDA와 같은 공신력 있는 인증원이 있어야 원스톱서비스가 가능해진다며 비용이나 효율성 등을 근거로 대구 유치를 줄곧 강조해왔다.

    강 의원은 “인증원 있어야 기업 유치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실제 인증원 확정되면 바로 입주하겠다는 기업들이 꽤 있다. 기초 용역 마무리되는 대로 내년 상반기에 결정될 것 같다. 조만간 조명래 환경부장관과 따로 만나 대구 취수원 이전과 물기술인증원 유치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물산업클러스터 운영기관인 한국환경공단도 대구시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인천시에 있는 한국환경공단은 전국 공무원 연수 기능 역할도 하고 있어 지방균형발전 차원에서라도 영남권으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강 의원의 설명이다.

    “인천시가 환경공단을 핑계로 인증원을 대구시 아닌 인천시 유치를 주장하지만 물산업클러스터 운영기관이 환경공단이기에 더더욱 수도권 아닌 대구로 내려와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 강효상 의원은 지난 28일 시민대토론회에서 두류정수장 후적지 활용을 위해 대구시청 등 공공기관 이전을 비롯해 패션·의료·뷰티 산업을 아우르는 K-뷰티메디칼센터(가칭) 등 복합시설 건립 추진도 함께 주장했다.ⓒ뉴데일리
    ▲ 강효상 의원은 지난 28일 시민대토론회에서 두류정수장 후적지 활용을 위해 대구시청 등 공공기관 이전을 비롯해 패션·의료·뷰티 산업을 아우르는 K-뷰티메디칼센터(가칭) 등 복합시설 건립 추진도 함께 주장했다.ⓒ뉴데일리

    ◇ 두류정수장 후적지 활용, “5만 평 달하는 요지, 대구시 미래 먹거리 달려있어”

    강 의원은 이날 시민대토론회에서 대구시청 등 공공기관 이전을 비롯해 패션·의료·뷰티 산업을 아우르는 K-뷰티메디칼센터(가칭) 등 복합시설 건립 추진도 함께 주장했다.

    사통팔달 입지 조건을 최대한 활용한 섬유·패션·한방 복합타운 건립은 달서구뿐 아니라 대구시 미래 먹거리가 될 수 있다는 것.

    하지만 강 의원은 플랜A와 플랜B의 차이일 뿐 무엇보다 추진이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10여 년 째 계획만 논의되고 이렇다 할 진전이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주민들은 상당히 격앙된 상태로 후적지 개발을 촉구했다.

    “어찌 보면 지금껏 정치적인 공약만 앞세워 주민들 기만 한 거죠. 공공기관 이전이나 K-뷰티메디컬센터 같은 복합시설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해야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미 로펌에 타당성과 컨소시엄 등 검토에 착수했다. 아이디어만 갖고는 아무것도 안 됩니다”

    ◇ 석포제련소 등 환경문제, 접근방식부터 바꿔야

    지역에서 유일하게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인 강 의원은 지난 달 환경부 본부 국정감사에서 영풍석포제련소와 관련한 환경오염실태를 공개하며 경제적 피해 등을 귀책사유로 기업의 보상책임 약속을 받아내 이전과 다른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강 의원은 “석포제련소가 과감하게 투자하고 향후 계획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제껏 소극적인 대처로 일관해 온 것은 기업의 도덕적 책무가 아니다. 이번 국감에 대표를 직접 불러 주민 보상 약속을 받아낸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다”고 밝혔다.

    앞서 석포제련소 경우 행정심판 결과에 승복하지 않아 소송으로 진행, 판결 날 때까지 영업이 가능해져 시간만 끌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기 때문.

    강 의원은 일본 오폐수 처리장 경우 최종단계에서 물고기가 살고 있는 점을 비교, 대기업의 도덕적·사회적 책무가 높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풍 석포제련소 경우 1조원에 달하는 대기업이 오폐수 방류 과정을 보면 기가 막힙니다. 차단시설이 동시 고장 나 1시간에 70 톤 가량의 오폐수가 그대로 흘렀지만 주민들이 직접 신고해서 찾아냈어요. 환경문제와 관련해 기업들이 너무 손 놓고 있어요.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