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미래 인재양성은 지방도시 생존 경쟁력배터리·바이오·스마트산업 인력수요 급증, 사전 대비 필요산·학·관 미래신산업 인재양성 위해 머리 맞대…맞춤형 인재양성 한목소리
-
포항시는 5일 미래 핵심 주력산업인 배터리·바이오스·마트산업 분야의 지속발전 가능한 체계 구축을 위해 미래 인재양성 산·학·관 간담회를 가졌다.간담회에는 한동대를 비롯한 4개 대학과 3개의 고등학교, 폴리텍대학, 관련 기업체 대표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시는 미래 신산업의 전망과 추진현황을 브리핑하고, 관련 기업대표 등 관계자로부터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이어 펼쳐진 자유 토의를 통해 고등학교, 대학교 등 단계별로 학교 현장에서의 주력 신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의견과 포항시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이강덕 시장은 “행정에서는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기업을 유치하고, 그들이 지역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정주여건을 비롯한 미래신산업 생태계 조성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이어 “대학 등 학교 현장에서는 주도적으로 관련 대학교 뿐만 아니라 기업과의 공유와 협력을 통해 맞춤형 인재양성에 힘써 달라”며 “기업은 이론과 실습이 겸비된 하이브리드형 인재가 양성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학교와 소통해 달라”고 당부했다.포항시 배터리산업은 특구 지정 이후 에코프로와 GS건설, 포스코케미칼 등 앵커기업과 중소 전후방기업들로부터 2조1000여억 원의 투자유치 성과와 함께 지난 5월 7일 환경부로부터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클러스터 구축사업 최적지로 선정되는 등 배터리산업 메카도시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포항시 바이오산업은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이후 한미사이언스를 비롯해 4천3백여억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설명했다.기존의 우수한 R&D 인프라에 융합기술산업지구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물의 산업화를 촉진하는 인프라가 착착 들어서고 있어, 환동해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한편, 포항시는 올해 5월 기준 19세 학령인구가 5073명이며 15세 학령인구는 4356명으로 연간 179명씩 자연 감소해 4년간 717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대학교 1개 학교 1학년 재학생 수가 줄어들 정도의 절박함 앞에 놓여있다.이에 시는 학교의 자체 체질개선 및 양질의 일자리와 관련된 신산업 관련 학과를 개설해 지역 인재의 유출을 막고 타지역의 인재유입을 유도해 줄 것을 참석한 총장 및 학교장에게 제안했다.2018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대졸자 기준 지역인재의 역외 이탈률을 보면 경북이 71.4%로 10명 중 7명이 타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간담회를 통해 실무협의체(Working-Group)를 구성해 체계적인 인력수급 방안을 마련하고, 예산의 중복지원 근절, 인력양성 미쓰매치를 해소하고, 산업과 대학․지방자치단체가 지속 발전가능한 순환체계를 구축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