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위기 확산 방지 위해 신속한 지정과 국가예산 조기 투입 필요성 호소포스코와 피해기업 현장 둘러보며 철강산업 정상화 위한 국가차원 대책 공감
-
포항시는 28일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지역 철강산업의 정상화를 위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한 정부 합동실사단이 포항을 방문했다고 밝혔다.이날 현장실사는 지난 23일 포항시와 경북도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관련된 자체 계획안과 신청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하고 지난 27일 관계부처 회의를 거쳐 신속하게 이뤄졌다.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신청 후 서면검토와 현장실사를 거쳐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위원장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서 지정 여부를 심의·의결하도록 돼있다.앞서 이강덕 시장은 지난 8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태풍피해 기업현장을 살펴보기 위해 포항을 방문했을 때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강력히 건의한 바 있다.이날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연구원, 관계부처 관계자들로 구성된 합동실사단은 포항시청을 방문해 손정호 포항시 일자리경제국장으로부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필요성’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토론시간을 갖고 의견을 나눴다.토론 후 실사단은 포항제철소 압연공장과 철강공단의 피해기업을 방문해, 태풍으로 인한 피해와 복구상황을 듣고 현장을 둘러봤다.이번 태풍으로 포항지역에는 400여 개가 넘는 기업체가 침수와 건물 파손, 토사 유출 등 NDMS 기준 피해신고만 1조 348억 원의 막대한 피해가 집계되는 가운데 간접피해까지 포함할 경우 신고금액의 4~5배가 추정되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복구에 상당한 시일과 비용이 소요될 전망이다.뿐만 아니라 이들 업체가 제품 납품 등으로 연관된 포스코 일부 공장의 조업 정상화에는 3~6개월이라는 시일이 소요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면서 협력업체와 중소기업 등 지역경제를 넘어 국가 연관산업에도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포항시는 이번 태풍 피해로 포스코가 1973년 쇳물을 생산한 이래 처음으로 조업이 중단됐으며 철강산업단지 30%의 기업이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포항의 산업비중은 제조업이 38.9%이고, 제조업 중 1차 금속이 출하량 기준으로 84.6%를 차지해 철강산업의 비중이 절대적이라고 밝혔다.글로벌 철강산업의 위기 속에서 포항 철강산업의 위기는 건설,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 조립금속, 일반기계 등 국가의 주요 연관산업에도 큰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특단의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철강 관련 기업과 공장의 응급복구는 어느정도 됐지만 정상화와 완제품 생산까지는 시일이 얼마나 걸릴지 예측이 불가능하다.3가지 중점과제 △철강산업 회복력 강화 △철강산업 구조전환 촉진 △철강산업 신산업화 선도를 위한 27개 실천과제에 1조4000여 억 원의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이강덕 시장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철강산업 위기의 심각성에 공감하고,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한 절차를 조속히 진행해줘서 감사하다”고 말했다.이어 “철강산업의 위기가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한 만큼 신속한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함께 국가예산 조기 투입으로 국가의 기간산업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원해 달라”고 강조했다.시는 향후 산업통상자원부, 관계부처, 경북도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지역 국회의원, 시의회와 함께 노력해 철강산업위기 선제대응을 위한 사업들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