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점 태양전지에 MXene 소재 도입, 효율성·안정성 동시에 높이는 안정화 기술 개발MXene 도입으로 다양한 전자 소자 성능 향상 기대
-
DGIST(총장 국양) 에너지공학과 최종민 교수 연구팀은 유기분산 MXene 소재를 도입해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양자점 태양전지는 최근 급격한 발전을 이뤘지만, 여전히 광 흡수물질과 정공 전달물질 간의 에너지 수준이 적절하기 배치되지 않는 에너지레벨 정렬 불일치와 표면에 금이 가는 크랙 문제로 성능이 제한되고 있다.에너지레벨 정렬 불일치는 전하를 효율적으로 추출하지 못하게 해 태양전지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킨다.이에 최종민 교수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양자점 태양전지에 2D 구조의 MXene 소재를 도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기용매 분산성이 뛰어난 폴리카테콜을 MXene 소재 표면에 결합시켜 양자점 잉크 공정에 MXene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MXene의 도입으로 양자점 박막이 높은 페르미 레벨을 형성, 양자점의 전하 재배치가 이루어져 에너지레벨 정렬 불일치 문제를 해결했다. 2D구조 MXene은 소자 내부 금속 침투를 막아주어 광전화 효율을 12.8%에서 13.6%로 향상시키고, 열 안정성도 약 30% 향상시켰다.최종민 교수는 “본 연구를 통해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을 뿐 아니라 MXene을 차세대 양자점 전자소자에 응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한다”며 “향후 연구를 통해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뿐 아니라 안정성 향상을 위한 표면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DGIST 유형렬 석·박사통합과정생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에 10월 6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또 본 연구는 한국교통대학교 인인식·안태규 교수 연구실과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됐으며,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 사업’ 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