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제주 해녀 교류행사…울릉도에서 역사적 포옹경북해녀합창단, 독도서 ‘홀로 아리랑’ 부르며 독도사랑 퍼포먼스 눈길공사-해녀협회-경북대 블루카본연구센터, ‘해양생태관광 활성화’ 협약
  • ▲ 경북문화관광공사는 지난달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경북(포항)-제주 해녀 교류 및 울릉도·독도 탐방’ 행사를 개최했다.ⓒ경북관광공사
    ▲ 경북문화관광공사는 지난달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경북(포항)-제주 해녀 교류 및 울릉도·독도 탐방’ 행사를 개최했다.ⓒ경북관광공사
    경북문화관광공사(사장 김남일)는 국가무형유산인 해녀들의 문화를 보존·전승하기 위한 ‘경북(포항)-제주 해녀 교류 및 울릉도·독도 탐방’ 행사를 지난달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성공적으로 열었다고 3일 밝혔다.

    이 행사는 ‘제29회 바다의 날’(5월31일)을 계기로 동해와 어촌공동체를 지켜온 포항시가 주최하고, 경북문화관광공사가 주관했다. 지난 2022년 경북도와 제주도의 ‘해양인문 교류 및 섬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에 따른 사업으로 올해 3년째 이어오고 있다.

    그동안은 경북도가 제주 해녀를 포항으로 초청해 경북 해녀와 교류했고, 울릉도는 제주 해녀만 방문했었다. 두 지역 해녀의 역사성을 잇는 울릉도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양도 해녀가 함께 시간을 가져 그 의미가 크다.

    이번 탐방단은 경북해녀협회 소속 경북해녀합창단과 1970년대 울릉도에서 ‘물질’(나잠어업) 했던 제주해녀 등 30여 명으로 이뤄졌다.

    탐방단은 지난달 29일 포항에서 만나 30일 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와 독도박물관의 ‘독도 그리고 해녀’ 특별전을 관람했다. 울릉도와 독도로 출어한 해녀들의 역사와 활동, 조업방식 변화 등을 살펴보며 우호를 다졌다.

    1년 만에 다시 만난 이들은 해녀 문화 보전과 전승, 경북-제주 해녀들의 지속적인 교류, 해녀 복지 개선, 해녀를 콘텐츠로 하는 해양문화관광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등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경북해녀합창단은 지난달 31일 독도에서 ‘홀로 아리랑’, ‘해녀는 아무나 하나’(개사곡) 등 동해와 독도·동행·해녀를 주제로 한 노래를 부르며 독도 사랑 퍼포먼스를 펼쳐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한편, 지난달 31일 경북문화관광공사는 독도에서 경북해녀협회(회장 성정희), 경북대 블루카본 융합연구센터(센터장 윤호성)와 ‘해양생태관광 활성화와 해양관광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해양생태관광 콘텐츠 개발을 위한 공동 사업 △민·산·학 협력을 통한 블루카본 해양생태관광 플랫폼 사업 등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김남일 사장은 “해녀 문화를 비롯해 경북의 해양 인문 관광자원을 발굴하고 친환경 생태관광, 공정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관기관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광공사 내에 해양문화관광팀을 신설한 계기로 내년 개관 예정인 경주 문무대왕 해양역사관과 포항의 해녀 및 호미반도의 해양보호구역, 울진 왕돌잠의 수중관광자원, 울릉도·독도의 청정해양 경관자원 등을 활용한 바다 마케팅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정희 경북해녀협회 회장은 “경북-제주 해녀가 지속적으로 소통, 협력해 새로운 미래 해양 먹거리를 만들어가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