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열어가는 따뜻한 소통과 공감!교육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경북교육 정책에 반영학교 현장 지원과 교육공동체 간의 소통 강화
  • ▲ 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26일 문경시에 있는 문경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미래를 열어가는 따뜻한 소통과 공감’이라는 슬로건으로 예천·문경교육 현장소통토론회를 진행했다.ⓒ경북교육청
    ▲ 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26일 문경시에 있는 문경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미래를 열어가는 따뜻한 소통과 공감’이라는 슬로건으로 예천·문경교육 현장소통토론회를 진행했다.ⓒ경북교육청
    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26일 문경시에 있는 문경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미래를 열어가는 따뜻한 소통과 공감’이라는 슬로건으로 예천·문경교육 현장소통토론회를 진행했다.

    현장소통토론회는 11개 직속 기관과 22개 교육지원청의 주요 업무 보고를 겸해 실시되며, 교육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경북교육 정책에 반영하고 학교 현장 지원과 교육공동체 간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반기에는 13개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총 6회에 걸쳐 이뤄진다.

    이날 예천, 문경교육 현장소통토론회에는 임종식 경북교육감과 박영서 경북도의회 부의장, 김창기·김경숙 경북도의원을 비롯하여 예천·문경 지역의 유·초·중·고등학교 교(원)장, 학교운영위원장과 학부모회장, 미래교육지구 마을학교 교사, 교육발전특구 관계자, 녹색어머니회, 학생상담자원봉사자회, 본청 주민감사관, 교육계 원로, 희망 학부모와 지역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해 성황리에 진행됐다.

    행사는 이창희 예천교육장과 이경옥 문경교육장의 학교 지원 실적과 업무경감, 교육환경 개선 실적 등에 대한 두 교육지원청의 주요 업무 보고로 시작됐다. 

    예천교육지원청은 지역예술단체 연계 협력 수업과 마을 활동가(마을교사) 협력 교육과정 운영, 마을교육 공동체와 지자체 연계 단샘마을돌봄터 운영 등의 지역과 함께 하는 교육활동과 교원 ‘다(多) 깨침 학습공동체’, 교원 대상 ‘딱 맞춤’ 연수 등의 맞춤형 학교 지원 실적이 돋보였다. 

    문경교육지원청은 ‘문경 출사동이학교’ 온라인 교실 운영, 문경늘봄맛집 지도 제작, 수업 속 ‘문경아리랑’ 배움 지원 프로젝트 등의 지역 특색을 살린 학교 지원 실적과 문경청소년오케스트라 창단 등의 예술교육 지원 실적이 두드러졌다.

    다음으로 이어진 대화의 시간은 행사 시작 전 메모지에 적은 질문과 현장 질문에 대해 교육감이 바로 답변하는 방식으로 실시됐다. 문경청소년오케스트라 창단 관련 예산, (구)수평초등학교 대부 계약 해지에 따른 활용 방안, (가칭)문경학생수영장 건립 문제, 예천교육지원청과 도서관 신축, (가칭)호명중학교 신설, 교직원 연립관사 신축, 작은 학교 살리기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대화를 나누며 소통·공감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임종식 교육감은 “교육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뜻깊은 시간이었다”라며, “앞으로도 학부모·지역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미래를 열어가는 따뜻한 경북교육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약속했다.

    한편, 이날 예천·문경교육 현장소통토론회를 마지막으로 2024 현장소통토론회 전반기 일정이 마무리됐다. 후반기 현장소통토론회는 11개 직속 기관과 9개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9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총 6회에 걸쳐 진행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