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태양전지 안정성으로 상용화기술 개발 기대SCI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게재
-
경부 구미시에 있는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이원호 교수팀이 ‘고분자 기반 유기 태양전지의 열 안정성을 개선한 연구 성과' 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고온의 가혹한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냄에 따라 유기 태양전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다.유기 태양전지는 유기화합물을 사용해 태양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것으로 가볍고 유연하며 저렴하지만, 고온에 장기간 노출되면 성능이 떨어진다.이에 연구팀은 간단한 열처리 공정을 통해 열 안정성을 개선했다.연구에 따르면 열처리 과정이 고분자 전도층의 밀도를 증가시켜 고온의 스트레스에서도 전극 확산을 방지하고 장기적으로도 안정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확인했다.이번 연구에서는 100℃ 에서 1000시간의 열처리 과정에도 90%의 초기 효율을 유지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현재까지 보고된 유사한 형태의 광활성층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중 가장 높은 열 안정성을 유지한 기록이다.관련 연구의 논문 제목은 ‘Preventing electrode penetration and burn-in degradation in non-fullerene organic solar cells via pre-annealing: Insights from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ies(비풀러렌 유기태양전지의 열처리를 통한 전극 침투 억제 및 안정성 향상 연구)’로 화학공학 분야의 저명 국제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JCR 상위 3.2%, IF 13.3)에 10월 28일자로 게재됐으며, 유기 태양전지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을 제안한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공동 제1저자인 장용찬 금오공대 석사과정 학생은 “이번 연구가 유기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중요한 발판으로 작용해 유기 전자재료의 안정성을 높이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할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이원호 교수는 “유기 태양전지의 열 안정성 개선 기술은 고효율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본 연구가 차세대 태양광 분야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전했다.본 연구는 BK21 프로그램, 교육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중앙대 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