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잔불 감시반 운영, 의료·주거·생활 최우선 복구
  • ▲ 김광열 영덕군수가 현장지휘본부에서 산불 상황을 보고받고 있다.ⓒ영덕군
    ▲ 김광열 영덕군수가 현장지휘본부에서 산불 상황을 보고받고 있다.ⓒ영덕군
    영덕군은 지난 28일 오후 2시 30분을 기해 나흘간 진행된 산불의 주불이 제압됨에 따라 즉시 피해 조사와 피해민 지원에 필요한 체계를 구축해 신속하게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영덕지역 산불은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번져 일어난 것으로, 25일 오후 5시 54분경 영덕군 지품면 쪽으로 처음 진입해 당시 초당 25m의 강풍을 타고 나흘간 8050ha를 삼켰다.

    이 과정에서 영덕군엔 9명의 사망자와 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주택 1163동과 차량 62대 등이 전소하는 등의 큰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된다.

    영덕군은 이번 산불에 대응해 25일 재난안전대책본부 발령하고 26일에는 현장지휘본부를 설치해 주불이 진압되기까지 사흘간 헬기와 소방차 등 누적 장비 402대, 누적 인력 2855명을 투입하는 총력 진화에 나섰다.

    영덕군 산불 진화율은 지난 27일 예보된 비가 기대에 못미치는 2mm의 강우량을 기록하며 10%대로 답보상태에 있었다.

    하지만, 산림청과 영덕군의 민·관이 자원과 인력을 총동원한 결과 28일 오전 9시경 진화율을 65%까지 끌어올린 끝에 오후 2시 30분 산림청이 최종 주불 진화를 선언하게 됐다.
  • ▲ 영덕읍 석리 해안마을까지 덮친 산불 피해 현장.ⓒ영덕군
    ▲ 영덕읍 석리 해안마을까지 덮친 산불 피해 현장.ⓒ영덕군
    영덕군은 주불 진압 후에도 24시간 잔불 감시조를 운영해 숨어 있는 잔불을 추적하고 피해지역에도 야간 감시조를 배치해 잔불 발화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등 추가적인 비상 산불 대응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또 건조주의보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고성능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과 전문 인력을 집중 투입해 과학적인 잔불 추적과 정리 작업을 시행한다.

    이처럼 영덕군은 산불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비상체제를 유지하는 한편, 27일 오후 4시를 기해 정부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함에 따라 피해 조사와 피해민 지원을 위해 신속히 복구체제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이에 따라 영덕군은 피해 주민 우선 조치의 원칙으로, 의료·주거·생활 복구를 최우선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대피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임시 대피소가 아닌 공공숙박시설이나 민간숙박시설에서 기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김광열 군수는 “몸을 아끼지 않고 혼신의 노력을 다해주신 산림청과 소방·경찰 관계자 여러분과 연이은 진화 작업에도 꿋꿋이 역할을 다해준 직원들과 민간 단체 여러분들 덕분에 악조건 속에서도 주불을 제압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 “큰 고비를 넘긴 만큼 방심하지 않고 잔불 박멸에 철저함을 기하고 신속한 피해조사와 지원 대책으로 더 이상 군민께서 고통받으시지 않도록 모든 자원과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