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강덕 포항시장ⓒ포항시 제공
    ▲ 이강덕 포항시장ⓒ포항시 제공

    경북 포항시(시장 이강덕)가 최근 철강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기업을 살리기 위해 경기 활성화 대책을 수립하는 등 지역 업체 보호·육성에 나섰다.

    시는 시에서 발주하는 모든 공사, 용역, 물품 등에 대해 관내 자원 활용을 원칙으로 하고, 지방계약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지역기업 보호수단을 적극적으로 마련해 지역 업체를 보호·육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공사의 경우, 관급자재는 지역기업 생산제품을 우선적으로 설계에 반영토록 하며, 또한 대형공사가 타 지역 업체에 낙찰될 경우 하도급 수주 기회가 지역 업체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질 수 있도록 권장해 고용을 창출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하지만 포항시에 영업장 소재를 두었으나 상주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페이퍼컴퍼니(Paper Company)에 대해서는 수의계약에서 배제도록 하며, 이와 함께 사회적 약자인 지역 여성기업과 장애인기업에 대해서는 추정가격 기준으로 5천만원까지 1인 수의계약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용역·물품 구매의 경우는 지난해 여성기업 4억 500만원, 장애인기업 12억 7천만원의 구매실적이 이뤄졌지만, 올해에는 목표를 지난해 대비 10% 향상시켜 지역경기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기권 창조경제국장은 “공종을 분리해 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공사에 대해서는 분할 발주해 지역업체의 수주기회를 확대하고, 공공조달 과정에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칭 ‘사회적 가치증대를 위한 공공조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지역 업체 보호·육성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