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전반기 대구 학생들 학교생활 인식 조사 및 결과 분석
  • ▲ 대구미래교육원(원장 이희갑)은 전면 등교를 실시한 2021년 전반기 학교생활에 대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인식조사를 했다. 사진은 대구교육청 전경.ⓒ대구시교육청
    ▲ 대구미래교육원(원장 이희갑)은 전면 등교를 실시한 2021년 전반기 학교생활에 대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인식조사를 했다. 사진은 대구교육청 전경.ⓒ대구시교육청

    대구미래교육원(원장 이희갑)은 전면 등교를 실시한 2021년 전반기 학교생활에 대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인식조사를 했다.

    이번 조사는 6월 14일부터 25일까지 학생 1만5633명(초 5·6학년 5028명, 중 6327명, 고 427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2021년 전면 등교 후 가장 좋은 점으로 ‘친구를 직접 만날 수 있어서’(42.5%)를 1순위로 선택했고, 이어 ‘체육과 같은 신체활동’(18.1%), ‘원격수업보다 공부가 잘됨’(12.0%)을 꼽았다.

    감염병 위기로부터 안전해지면, 숙박형 현장체험학습(58.7%)을 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체육대회(16%), 학교 축제(8.1%)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학교활동에 제한이 생기면서 또래관계의 결속과 협동의 경험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 19 이후 보충학습이 필요한 과목으로는 ‘없다’는 응답이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예체능’(21%)과 ‘수학’(20.6%)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없다’는 응답을 제외하면 초‧중학생은 체육, 음악, 미술활동 등 예체능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고등학생은 수학에 대한 보충학습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학교급에서 등교수업이 원격수업을 할 때 보다 수업이해도, 흥미도, 참여도가 높다고 응답했다. 초등학생의 경우 원격수업의 흥미도는 5점 만점에 3.3, 등교수업의 흥미도는 4.01 정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급에 따른 등교방식을 결정할 때 학습자 발달 정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시간관리 능력, 원격수업의 질적 수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생들의 코로나스트레스와 학습무기력은 각각 5점 만점에 2.39와 2.27로 보통(3점) 이하로 나타나 우려했던 것보다 코로나스트레스가 높지 않았고, 자아존중감과 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3.81과 3.77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한 초등학생은 “마스크가 너무 답답해서 고등학생 때까지 이럴까 봐 걱정돼요, 이러다가 여행한번 못 가고 졸업하는 게 아닌지”라고 응답했고, 다른 고등학생은 “졸업식을 줌으로 할까 봐 겁난다”고 응답했다.

    이희갑 원장은 “학교와 가정, 사회가 함께 자유와 안전의 가치를 조화시키면서, 학교 안 사회적 자본 형성을 통해 아이들의 삶의 공간으로서 학교 경험을 풍부하게 할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