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위, 연면적 7만㎡ 등 후보지 신청기준 공개시민참여단, 시민단체·전문가 포함 252명 구성
  • ▲ 대구시가 지난 28일 신청사와 관련해 시민설명회를 열고 구체적인 청사 규모와 신청사 입지를 결정 지을 시민참여단 구성안 등을 제시했다.ⓒ뉴데일리
    ▲ 대구시가 지난 28일 신청사와 관련해 시민설명회를 열고 구체적인 청사 규모와 신청사 입지를 결정 지을 시민참여단 구성안 등을 제시했다.ⓒ뉴데일리

    대구시 신청사 건립 후보지 신청기준의 윤곽이 드러났다.

    대구시(시장 권영진)는 지난 28일 연말 건립 예정인 대구시 신청사 건립과 관련해 시민설명회를 열고 구체적인 청사 규모와 신청사 입지를 결정 지을 시민참여단 구성안 등 주요 내용을 공개했다.

    이날 설명회를 통해 △신청사 건립 기본구상 △후보지 신청기준 △예정지 평가기준 및 평가방법 △시민참여단 구성 방안 등이 제시됐다.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위원장 김태일)는 청사 기준면적을 5만㎡, 주민편의시설 등 기준 외 면적 2만㎡ 등 신청사 건립 규모를 총 연면적 7만㎡를 적정한 규모로 제시했다. 후보지 신청을 위해서는 최소 규모 1만㎡ 이상, 경사도는 부지 평균 17도 이하(주거·상업·공업 지역일 경우 25도 이하) 등이 돼야한다.

    예정지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으로는 △상징성 △균형발전 △접근성 △토지 적합성 △경제성 등을 기본항목으로 하고 총 7개 세부항목을 설정해 평가를 진행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또 이날 설명회에서는 가장 관심을 끌었던 시민참여단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안도 제시됐다.

    신청사 입지 최종평가에 시민단체 10명과 전문가 10명, 시민 232명 등 총 252명 시민참여단을 구성, 일반 시민은 무작위 표집 후 면접 조사를 통해 각 구·군별 29명씩 균등한 인원을 선정하기로 했다.

    시민참여단은 후보지별 현장답사와 숙의 과정을 거쳐 예정지 선정 평가를 수행해 최고득점을 받은 지역이 예정지로 확정된다.

    공론화위는 내달 중 제9차 정례회의를 갖고 신청사 건립구상과 각 기준들을 확정지은 후 11월까지 후보지 신청을 받아 12월 예정지 선정 평가를 수행할 시민참여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김태일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장은 “유치를 희망하는 구·군의 첨예한 관심이 모여 있고 중대한 사안인 만큼 위원 모두 각자가 가진 모든 지혜와 역량을 남김없이 쏟아 붓는다는 심정으로 신청사 건립 기본구상과 각종 기준들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대구시 신청사 건립에는 중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 등 4곳이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