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발전과 독도문제 해결 위한 대응전략 및 정책 방향 제시 독도 해녀연구, 독도 인근 바위 명칭 부여, 메타버스 구축 등
  • ▲ 경북도는 22일 도청 회의실에서 이철우 도지사 주재로 일본 시마네현의 ‘죽도의 날 행사’에 대응해 ‘경상북도 독도평화관리 민관합동회의’를 열었다. 사진은 메타버스 독도 가상체험 장면.ⓒ경북도
    ▲ 경북도는 22일 도청 회의실에서 이철우 도지사 주재로 일본 시마네현의 ‘죽도의 날 행사’에 대응해 ‘경상북도 독도평화관리 민관합동회의’를 열었다. 사진은 메타버스 독도 가상체험 장면.ⓒ경북도
    경북도는 22일 도청 회의실에서 이철우 도지사 주재로 일본 시마네현의 ‘죽도의 날 행사’에 대응해 ‘경상북도 독도평화관리 민관합동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경상북도 독도위원회와 다양한 분야 전문가와 기관대표들이 참가한 가운데 정재정 경상북도 독도위원회 위원장의 기조발제에 이어 코로나 19 이후 양국관계 전망과 경북도의 역할에 대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독도평화관리회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정재정 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전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는 “일본의 기시다 정부가 아베 정권을 답습하고 있어 올해 한일관계에 큰 변화가 오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우나,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본의 실체를 냉정히 파악해 앞으로 한일관계 발전을 위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의 정례적 독도 도발에 대해 국제분쟁지역화 전략에 말려들지 않는 실리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경북도가 독도관할 지자체로서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공고히 하는 정책을 추진해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됐다.

    이정태 경북대 교수는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 땅 독도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문화 확산 흐름을 따라 전세계 어디서나 누구나 참여 가능한 온라인을 활용한 사이버전략센터 K-독도 홈페이지, 유튜브, SNS, 메타버스 독도 가상체험 등을 통해 글로벌 K-독도 홍보에 적극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경북 독도위원들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와 해양과학, 수산자원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이날 민관합동회의에서는 울릉도·독도의 자연과학적 접근을 통해 실리를 찾는 방안도 제시됐다. 

    독도 해녀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독도 인근 바위 공식 명칭 부여, 독도 온라인 탐방 안내, 3차원 영상물과 4차원 시뮬레이터의 활용 등 다양한 연구와 정책 추진을 통해 주권국으로서 독도 영토의 지속 가능한 관리 및 이용을 주관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회의는 앞으로 독도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큰 방향성을 제시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위원들께서 제안해주신 여러 혜안들을 정책적으로 검토 추진해 나가겠다. 전 세계에 대한민국 땅 독도가 각인될 수 있도록 관련 다양한 문화·관광 산업을 추진하고 기반인프라 구축을 통한 접근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