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증가 위한 선순환 종합 정책 마련, 지방소멸 위기 선제적 대응일자리 창출, 정주여건 개선 등 5대 분야 64개 핵심사업 추진 상황 점검장상길 부시장 “인구 및 저출생 문제는 각 부서 유기적·협력적 대응이 최우선”
  • ▲ 포항시가 28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지방소멸 대응 포항형 인구정책 추진 보고회’를 개최했다.ⓒ포항시
    ▲ 포항시가 28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지방소멸 대응 포항형 인구정책 추진 보고회’를 개최했다.ⓒ포항시
    포항시가 28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지방소멸 대응 포항형 인구정책 추진 보고회’를 개최하고,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의 위기에 선제적으로 나선다.

    이날 보고회는 장상길 부시장 주재로 인구정책 관련 부서장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부서별 인구정책 핵심사업을 점검하고 신규사업 보고 및 관련 부서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항시는 최근 정부와 경북도에서 중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저출산 극복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포항형 인구정책 수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포항시의 올해 4월 기준 인구수는 내국인 49만2574명을 포함해 총 50만626명이며 올해 1~4월 인구 동향을 살펴보면 취학 등의 사유로 매년 2700명에서 2900여 명의 인구감소가 있었던 지난 몇 년과 달리 450여 명의 감소에 그쳤다.

    올해 4월은 취학·복학 등 18~26세 인구는 3월 대비 193명 감소했지만 27~35세 사회진출 청년 인구는 233명 증가하는 등 내국인 주민등록 인구가 전월 대비 232명 증가를 기록해 포항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주거·교육·환경 등의 정주 여건 개선 노력이 지표를 통해 긍정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보고회에서는 ▲일자리 창출 ▲정주여건 개선 ▲결혼·출산 인식 개선 ▲저출생 극복 종합지원 ▲고령사회 대응 맞춤형 복지 등 5대 인구 증가 선순환 추진을 위해 64개 핵심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했으며 총사업비 482억 원이 투입되는 25개 신규사업에 대한 논의도 진행했다.

    세부 사업으로는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해 ▲종교시설 기반의 돌봄공동체 지원 ▲어린이집 새벽반 운영 ▲0~2세 외국인아동 영유아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유휴공간을 활용한 돌봄 제공 ▲돌봄센터 운영 시간 연장 ▲농번기 돌봄 지원 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청년 신혼부부 월세 지원 ▲청년 징검다리 주택 건립 ▲기후 위기 대응 도시 숲 조성 등 정주 여건 개선 사업과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일월동 복지주택 건립 ▲다자녀 가구를 위한 혜택 확대 등 다양한 분야의 시책이 검토됐으며 인구 증가를 위한 신규 시책 발굴에 더욱 적극적으로 힘을 모아가기로 했다.

    장상길 부시장은 “인구 및 저출생 문제는 일자리, 주거, 교육, 노동, 의료, 복지 등 삶의 전 분야와 연결돼 있으므로 각 부서의 유기적·협력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정부 및 경북도의 저출생 극복 대책과 발맞춰 포항시만의 선순환 종합 정책 마련에 더욱 총력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포항시는 향후 포항형 인구 증가 선순환 종합대책을 완성하기 위해 6월 중 각 부서에서 신규사업 추가 발굴과 제도개선 사항을 중점 점검해 7월 포항형 인구정책 종합보고회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